아래와 같이 다른 형식의 날짜를 쓰거나 Number 타입의 파라미터를 넣어주면 됩니다!!!
첫번째로 구분자가 '-'가 아닌'/'로 String 형태로 선언('YYYY/MM/DD')을 해주면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표현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파라미터로 년 월 일을 Number 형태로 선언(YYYY, M-1, D)을 해주면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표현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에는 주의하실점이 있는데, Date 객체를 써보신 분들은 아실 수 있지만, 다시 한번 말씀드리면, 월의 경우는 원하는 달에서 -1을 한 값을 넣어줘야 합니다. (예를들어, 1월이라면 0)
추가적으로 시분초를 생략하면 0시0분0초로 초기값이 지정되어 있는데, 위와 같은 형태로 String일때는 한칸 띄고 01:01:01과 같은 형태('YYYY/MM/DD HH:mm:ss')로 시분초를 선언하시면 시분초도 지정할 수 있으며, Number형태로 넘길때는 뒤에 시분초를 콤마(,)를 구분자로 Number 형태(YYYY, M-1, D, H, m, s)로 선언하시면 지정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IE5~8은 '-' 구분자의 String 선언은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IE9부터 지원이 되기 때문에 '/' 구분자의 String 형태로 선언을 하던가 Number 형태로 선언을해서 사용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아래 I agree to the Liceense terms and conditions를 체크후 Next를 누릅니다!
4. Next를 누르면 포함된 프로그램들 목록이 나오는데, 기본 상태로 진행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5. 설치 완료 후에 바탕화면에 ScpToolkit Driver Installer 파일이 생기는데 그걸로 실행해도 되지만 아래 화면에서 Run Driver Installer 를 누르시면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을 띄워줍니다.
6.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 우리가 필요한 항목은 블루투스 드라이버와 듀얼쇼크3드라이버 입니다.
(해당 설치 프로그램을 통해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때문에, 별도로 동글이 드라이버를 설치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7. 듀얼쇼크4는 왼쪽에서 해제를 하고 오른쪽에 Choose Blutooth dolges to install 아래화살표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근데 보면 먼가 이상한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현재 동글이가 꽂혀있지 않은 상태이기때문에, 목록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듀얼쇼크3도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목록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설치 프로그램을 끄고, 동글이와 듀얼쇼크3를 USB케이블로 연결후에 다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바탕화면에 있는 ScpToolkit Driver Installer 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8. 동글이와 듀얼쇼크3 연결후에 다시 진행하면 아래와 같이 목록에 동글이와 듀얼쇼크3 패드가 잡히는걸 볼수 있습니다. 그러면 블루투스 선택항목에선 해당 동글이를 선택하고, 듀얼쇼크 선택항목에선 해당 듀얼쇼크3 패드를 선택하시고 Install를 눌러 진행하시면 됩니다.
(듀얼쇼크4의 경우에는 3가 아닌 듀얼쇼크4를 선택하셔서 진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9. 그럼 아래쪽에 진행되고 있는 로그를 확인할수 있는데 아래와 같이 Installed가 뜨면 설치가 완료된거고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하시면 되겠습니다.
10. 바탕화면에 SCP Monitor 라는 프로그램이 생겨있는데, 해당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상태는 패드가 usb로 연결되어 있고 충전중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태론 usb 케이블을 꽂은 상태로 게임을 이용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블루투스로 멀리서 편하게 이용해야합니다!!!
11. 블루투스로 연결하는건 간단합니다! 그냥 패드에서 케이블만 빼주면 아래와 같이 블루투스로 문구가 바뀌면서 배터리 상태를 볼수 있습니다.
12. 필자는 4개 패드를 블루투스로 연결해서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3. 위닝으로 테스트 하면 위닝 PC버전 컨트롤러 설정에 장치에 컨트롤러가 뜨고 패드 버튼을 눌러보면 인식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닝 PC버전 기본 컨트롤러는 XBOX로 되어 있어 아래 화면은 XBOX패드로 나옵니다.)
14. 확인을 눌러 위닝을 실행해보면, 4개 패드 연결되는걸 확인 할 수 있고, 친구들과 2:2를 즐길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블루투스 연결해두고 사용을 안하고 있으면 아래 처럼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때 당황하시지 마시고, 듀얼쇼크3에 있는 가운데 버튼 PS버튼을 누르시면 연결이 되는걸 확인할 수 있고, 또는 USB케이블을 패드에 한번 꽂았다가 빼주면 연결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엔, PC를 키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게 되어 있습니다. 자동실행 끄는걸 찾아봤는데.. 이건 아직 찾질 못했습니다..ㅠ,ㅠ 아무튼... 결론은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동글이와 듀얼쇼크3를 케이블로 연결하면 띵! 소리나면서 연결되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연결이 된 상태를 보시려면 SCP Monitor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시고, 위에 진행했던 것처럼 확인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이렇게 저 처럼 여러명이 하기 위해 사는경우도 있겠지만, 한개만 필요하신 경우에도 사셔서 사용하셔도 괜찮으실 것 같습니다!
플스가 없는 저로써는... 듀얼쇼크3는 가격도 저렴하고, 사용방법도 간단하고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ㅎㅎ
저는.. 사실 처음에 엄청 고생했습니다..ㅠㅠ
검색해서하면 간단할줄 알았는데 하라는데로 하는데 잘 안되더라고요..ㅠ
근데 계속 찾으면서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하다보니 우여곡절 끝에 되서 이 글을 보시는분들은 헤매지 마시고 빨리 사용하시라고 포스팅을 하게 됐습니다ㅎㅎ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공부를 C언어로 시작하고 비교 연산자에서 같다라는 표현은 == 이 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고 배우고 줄곧 ==(동등연산자, equality operator)만을 사용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다른 분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보다 ===(일치연산자, identity operator)를 사용 하는 걸 보고 궁금해서 알아보게 되었고, 알아본 것을 같이 공유하고자 이 글을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 vs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 연산자를 사용시에 type이 다를 경우에는 자동으로 형변환을 해서 비교를 한다고 합니다.
위에 예제에서 9,10,11번 라인을 보면 false가 예상되는 비교지만 실질적으로는 자동으로 형변환되서 true가 출력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8번 라인의 경우에는 type이 같고 값도 같으니 당연히 true가 출력되는걸 확인할 수 있고, 12번 라인의 경우에는 type은 같으나 값이 달라 false가 출력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 연산자를 사용시에는 type이 달라도 형변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type이 다르다면 당연히 다른값이 되며, 우리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비교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16,17,18번 라인을 보면 형변환이 되지 않으니 당연히 number와 string은 같을 수 없기에 false가 출력되고, 15번 라인의 경우에는 타입이 같고 값도 같기 때문에 true가 출력되고, 19번 라인의 경우에는 타입은 같지만 값이 달라 false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숫자를 비교할 경우에 저도 모르게 string으로 선언된 1과 number로 선언된 1이 다른 값이라고 생각해야되는데 같다고 생각해서 사용을 했었습니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 가져온 데이터가 문자열('1')로 넣어있든 숫자(1)로 넣어져있든 == 연산자로 비교하여 같다고 처리를 했었습니다. 이걸 공부하면서 이처럼 사용하던게 틀리다고는 하기엔 애매하지만 지양해야하는 방식이란걸 생각되며, 앞으로는 type도 같아야 된다라고 생각하면서 ===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교를 해야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보신분들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같다라는 비교연산자를 사용하실때 한번 더 생각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ㅎㅎ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공부하다가 찾아본 다른 예시를 몇개 실행해본 것을 아래 공유해봅니다.
이중에 0==-0, 0===-0 의 결과 true와 NaN==NaN, NaN===NaN의 결과 false는 어떻게 이 결과가 나오는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나머지는 그래도 어느정도 예측을 해볼만 한데 이 두 녀석은 잘 모르겠네요..ㅠ,ㅠ